Notion으로 정리하고, GPT로 자동화하자 – 실전 노션 활용법 총정리
2025. 4. 25. 11:41ㆍAI 일잘러 팁
728x90
💡 1. Notion 실전 활용법 핵심은 "DB + 반복 + 연결"
- 메모만 쓰는 게 아님 → “데이터베이스로 정리하는 루틴”이 핵심
- 예:
- 회의록 정리 템플릿
- 자기계발 루틴 관리
- 콘텐츠 아이디어 카드 관리
- Action Items 대시보드
👉 반복되는 정보 + 자동화 = 진짜 실전용 Notion
🧱 2. 데이터베이스 구조 기본
속성추천 유형
제목 | 제목 (Title) |
날짜 | 날짜 (Date) |
태그 | 선택 (Select) |
상태 | 선택 (To do / 진행 중 / 완료 등) |
GPT 출력 | 텍스트 (Rich Text) |
생성일 | 생성일자 자동 (Created time) |
✔️ 꿀팁: 각 항목마다 필터/정렬해서 트래커처럼 만들기
✔️ “보기 모드”는 Table / Gallery / Calendar / Board 추천
🧰 3. 템플릿 구성법 (반복용 자동 생성)
예: 회의록 템플릿
📌 회의 제목:
🗓 일시:
👤 참석자:
📝 논의사항:
✅ 결정사항:
🎯 Action Items:
→ DB 항목에서 Template 클릭 → 위 내용 등록하면
+ 버튼 누를 때마다 자동 생성
🔗 4. Notion 자동화 연동 (GPT + Zapier or Make)
✅ 기본 흐름
[Notion에 항목 생성됨 or 수정됨]
↓
[Zapier가 감지 → GPT 호출]
↓
[GPT 응답 → 다시 Notion에 저장]
✅ 설정 순서 (Zapier 기준)
항목 설명
Trigger | Notion: “New Database Item” or “Updated Item” |
Action 1 | GPT 호출 (프롬프트 삽입) |
Action 2 | Notion: “Update Database Item” |
→ GPT 출력 결과를 특정 속성에 자동 기록 |
✅ 필드 매핑 예시
Notion 속성 GPT 사용 예시
회의 내용 | → 프롬프트 입력값 |
요약 | ← GPT 출력값 저장 위치 |
태그 | 분류용 (예: 회의, 회고, 리뷰) |
📌 실전 예시 1: 회의록 자동 요약
- Notion에 회의 내용 입력
- Zapier가 “New Item” 트리거 감지
- GPT에게 요약 요청
- 응답 내용 → 같은 DB에 “요약” 필드 자동 업데이트
📌 실전 예시 2: 주간 회고 루틴 자동화
- 주간 회고 템플릿 생성
- 매주 일요일 오전 9시 Zapier가 자동으로 템플릿 생성
- GPT가 지난주 활동 정리 + 개선점 제안
- “개선 제안” 필드에 자동 기입
🎁 꿀팁 정리
꿀팁 설명
Notion 템플릿은 반복되는 루틴에 최적화 | 회의록, 업무일지, 회고, 블로그 초안 등 |
GPT 연동시 ‘요약’, ‘정리’, ‘피드백’에 강함 | 사람이 귀찮아하는 일 자동 처리 |
Zapier or Make 둘 다 가능 | Make가 더 유연하지만 처음엔 Zapier가 쉬움 |
프롬프트 저장용 Notion DB 따로 만들어두기 추천 | 향후 관리 편함 |
Notion은 정리 도구가 아니라,
GPT와 함께 자동화 루틴을 만드는 플랫폼이다.
쓰는 방식이 아니라 연결하는 방식이 실전의 핵심!
728x90
반응형
LIST
'AI 일잘러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헬스도 AI가 짜준다? GPT로 내 몸 맞춤 루틴 만들기 (1) | 2025.04.29 |
---|---|
자동화 입문자 필수! Zapier vs Make 어디부터 써야 할까? (0) | 2025.04.28 |
GPT 자동화를 위한 Zapier 완전 사용법 – 트리거부터 액션까지 실전 정리 (0) | 2025.04.24 |
GPT 자동 알림 시스템 – 이메일, 슬랙, 카카오톡까지 자동화하는 법 (1) | 2025.04.23 |
AI로 보고서부터 PDF 배포까지 자동화하는 시스템 만들기 (0) | 2025.04.22 |